육아휴직, 남성 참여 늘었지만…여성과 격차 여전 > 남성인권뉴스

본문 바로가기

남성인권 뉴스

육아휴직, 남성 참여 늘었지만…여성과 격차 여전

profile_image
남성인권연합
2025-02-23 21:30 15 0

본문

지난해 육아휴직을 사용한 남성 비율이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고용노동부는 23일, 2023년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등 일·육아지원 제도를 이용한 사람이 총 25만 6771명으로, 전년 대비 7.2%(1만 7242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육아휴직자는 13만 2535명으로 전년보다 5.2%(6527명) 늘었으며, 이 중 남성 육아휴직자는 4만 1829명으로 전체의 31.6%를 차지했다. 2015년 4872명(5.6%)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0년 새 9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여전히 남성 육아휴직자 수는 여성(9만 706명)의 절반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l_2025022401000641500067521.webp

 

 

육아휴직 평균 사용 기간은 8.8개월로, 여성은 평균 9.4개월, 남성은 7.6개월을 사용했다. 여성의 80%, 남성의 46.5%가 자녀가 생후 12개월 이내일 때 육아휴직을 썼다.

노동부는 남성 육아휴직 비율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부모 함께 육아휴직제’ 확대를 꼽았다. 이 제도는 부모가 자녀 생후 18개월 내에 각각 6개월간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월 최대 450만 원(부부 합산 900만 원)의 육아휴직 급여를 지급하는 정책으로, 지난해 5만 1761명이 이용해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또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를 활용하는 노동자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해당 제도를 사용한 노동자는 2만 6627명으로 전년 대비 14.8% 늘었다. 특히 300인 이상 기업(9358명·35.1%) 다음으로 10인 미만 소규모 기업(6380명·24%)에서 이용 비율이 높아 중소기업에서도 근로시간 단축 제도가 자리 잡아 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여성 노동자가 출산 전 직업교육이나 훈련을 받으면 출산 후 경력단절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한국노동연구원이 발간한 ‘월간 노동리뷰’ 2월호에 실린 ‘여성 취업자의 인적자본 투자와 경제활동 지속성’ 보고서에 따르면, 첫째 자녀 출산 시 여성의 취업 가능성이 평균 37.2%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출산 전 직업교육이나 훈련을 받은 여성의 경우, 출산 후에도 취업 상태를 유지할 확률이 17.3%포인트 더 높았다. 또한, 출산 후 여성들의 주당 근로시간이 평균 15.8시간 줄어드는 반면, 출산 전에 교육·훈련을 받은 여성들은 근로시간 감소폭이 8.4시간으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보고서는 “출산 전 직업교육과 훈련이 여성의 경력단절 위험을 크게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청년 여성들이 본인의 역량을 강화하고 직업 선택 시 자신의 인적자본보다 낮은 수준의 일자리를 선택하지 않도록 컨설팅과 선제적 고용 서비스 제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출처 : https://www.khan.co.kr/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