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사 남성에 돼지 간 이식 성공…학계, '획기적' 평가


-
6회 연결
본문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가 뇌사 상태의 인간에게 유전자 변형 돼지 간을 성공적으로 이식한 최초 사례를 공개하며 의학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네이처는 27일(한국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유전자 변형 돼지와 인간 간의 간 이종 이식’이라는 제목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중국 시안성 공군 군의대학 부속 시징병원 연구팀은 지난해 3월, 뇌사 상태인 50대 남성에게 유전자 6개를 편집한 미니 돼지의 간을 이식했다.
이식된 돼지 간은 10일간 거부 반응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혈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담즙 생성도 순조로웠으며, 염증 징후도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를 이끈 왕 린 박사는 “심장은 혈액을 순환시키고 신장은 소변을 배출하지만, 간은 훨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며 “이런 복잡한 장기를 다루는 것은 큰 도전”이라고 밝혔다. 간은 독소와 노폐물 제거, 영양소 처리, 담즙 생성, 혈액 응고 단백질 합성, 혈당 조절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이번 실험은 뇌사자 가족의 동의로 10일간 진행된 뒤 종료되었다. 연구팀은 이식 후 뇌사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했고, 기간 종료 후 돼지 간을 제거했다. 다만, 이 남성은 원래 간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였기에, 이식된 돼지 간과 기존 간이 함께 작용했다. 이에 연구진은 “돼지 간이 실제 간 질환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지 확인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이번 사례는 학계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돼지 간이 인간 간을 보조하거나 대체할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며 ‘가교 요법’으로서의 활용성을 언급했다. 옥스퍼드 대학교 피터 프렌드 교수는 “이식 후 혈액 응고 수치가 정상적으로 유지된 점은 긍정적”이라며 “이 기능이 돼지 간에서 비롯된 것인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메릴랜드 대학교 무하마드 모히우딘 교수는 “돼지 간을 인간 간 이식 전 임시 대안으로 사용하거나, 손상된 간이 회복될 때까지 지지 역할로 활용할 수 있다”며 실용적 가능성을 제안했다.
이번 연구는 이종 이식의 한계를 넘어서는 중요한 발걸음으로 평가되며, 향후 간부전 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은다.
댓글목록0